본문 바로가기
프로그래밍/C언어

C언어의 시작

by 밤이씌 2017. 4. 19.

드디어!!! 맘을 다잡고 다시 공부를 시작했다!!!!!!

 


오랜만에 책을 폈기때문에~ 다 아는 내용이라도~ 처음부터 꼼꼼히 다시 시작하기!!

 


처음엔 C언어의 구조~ , C함수의 구조에 대해서 공부!

 C프로그램은 한가지 이상의 함수들로 이루어지게 된다.

 


함수반환자료형 함수명(인수리스트)

{

 명령문

}

 

이런식으로 함수가 구성된다.

이렇게 하면 이해가 어려우니깐~ 항상 예시를 통해서 배우는게~ 이해가 빠르다!!!

그래서 C언어를 배우게 되면 가장 먼저하는 화면 출력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보자~

 

프로그램 예제 1-1 (화면에 문장을 출력하는 프로그램)

 

#include <stdio.h>

void main()

{

printf("hello. welcome to my blog.\n");

}

 


자 이렇게 화면에 문장을 출력시켜주는 함수로 C프로그램을 짜보았다!!

이게 무슨 프로그램이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.... 위에서 말했다시피 프로그램은 한가지 이상의 함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것도 프로그램이 맞다!!!

 

그럼 위에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볼 차례!!

첫번째 줄에 #include <stdio.h> 이 문장은 include!!! 포함한다!!! 그래..그런 단어였어~ 그렇다면!!! <stdio.h>를 포함한다가 되겠네!!

그럼 <stdio.h>는 뭘까?? 이건 C컴파일러에 포함된 standard input/output header 파일이다!! 바로바로 입출력을 담당하는 함수로 정의된 파일이다!! 밑에 나오는 printf() 함수를 쓰기위해 필요한 파일이다~

그럼 첫번째 줄을 풀어서 읽어보면~ standard input/output header 파일을 포함해라~ 라고 알 수 있겠다.

 

자 두번째 줄 void main() 이다!! 먼저 중요한 것은 C프로그램은 항상 main() 함수가 있어야 된다. 그렇다고 2개 이상의 함수를 가지고 있으면 안된다!!! 단 한가지의 main()함수가 있어야하며~ main() 함수로부터 C프로그램은 시작이 된다.

 void는 뭘까? 바로 main() 함수의 반환자료형이다. void는 자료형없음을 뜻하는데 이건 나중에 천천히 알아봐야겠다!!

어찌하였든간에 void라는 함수반환자료형이 있고 main이라는 함수명이 있다. 그리고 main()함수에 ()안이 비었기때문에 인수는 없다고 할 수 있다.

 

다 세번째로

{

printf("hello. welcome to my blog.\n");

}

이것은 { 명령문 } 이다. main함수의 몸체에 해당하고 몸체는 {} 중괄호 안에 들어가게 된다. 여기서는 자료를 화면에 출력하는 printf() 함수라는 명령문이 들어있다.

그러면 printf()함수의 인수를 보자. 인수에는 hello. welcome to my blog 라고 되어있다그럼 이 printf() 함수는 hello. welcome to my blog 를 화면에 출력하라 라는 명령어이다.

\n은 뭔가? 이것은 개행문자로 해당 행에서 다음 행으로 넘겨주는 문자이다.

그럼 ()뒤에 ;은 무엇일까?? 이것은 명령문을 끝내주는 것이다. ~든 명령문은 ; 이 세미콜론으로 끝이나게 된다!!!!!

 

~ 그럼 이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볼까나~~



 

자 이렇게~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네요!!!!!

 

오홍오홍~~ 첨에 대학교에 가서 배웠을때 너무 신기했었는데~~

 

지금은...신기하진않다...오히려...토할 것 같당...앞으로 배울게 많은걸...나는 아니깐...ㅠㅠ

 

아아~ 앞으로 열심히 열심히 공부해야지~~

 

처음부터 다시 해야된다니..슬프다 슬퍼..ㅠㅠ

댓글